[#8주차]
생명윤리의 두 가지 의미
- 넓은 의미 : 인간과 생명에 대한 공동체의 바람직한 접근방향에 대한 고민과 성찰
- 좁은 의미 : Bioethics에 대응하는 것, 일정한 지역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위한 규범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짐
배아의 발생학적 개념
- 정자와 난자가 체내 혹은 체외에서 합쳐지면 수정란이 생기고, 이때부터 인간 배아가 생명체로서 생명이 시작
- 생명윤리법에 의하면 배아는 인간의 수정란 및 수정된 때부터 발생학적으로 모든 기관이 형성되는 시기까지 분열되는 세포군을 의미
- 생명윤리법에 의하면 잔여배아는 체외수정으로 생성된 배아 중 임신을 목적으로 이용하고 남은 배아를 의미
줄기세포에 의한 배아복제
- 줄기세포는 아직 분화하지 않은 세포로, 일정한 조건 하에 서로 다른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세포
인간배아복제의 개념
- 인공으로 수정란을 분할하거나 혈액, 살점 등 채세포만을 이용해 사람의 난자에 핵이식하여 복제해낸 배아
- 세포의 유전정보가 체세포를 제공한 측의 유전정보와 같다는 점에서 복제라는 용어를 사용
인간복제는 어떤 윤리적인 문제가 있는가
- 인간복제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근본적인 위협이 된다
인공생식기술과 인간의 도구화의 문제
- 인간을 도구화시켜서 만드는 인간복제는 물건인 것처럼 대상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 존엄성의 침해를 우려한다
- 대리모 등을 돈으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여성의 몸에 대한 상업화와 대상화가 일어난다
- 대리모 거래도 국제적으로 이루어질 우려가 있다.
인간배아의 법적 지위에 따른 윤리적 문제
헌법상 지위
- 인간배아와 관련된 헌법 문제는 두 가지가 선결되어야 한다.
1. 인간의 생명은 언제 시작되는가 하는 문제
2. 인간의 존엄을 보장하는 범위를 어디까지로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
생명 윤리법상 지위
- 배아복제를 통해 복제된 배아를 여성의 자궁에 착상시키는것은 인간의 정체성과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정면으로 침해하는 것이다.
- 그러나 체외인공수정이나 산전유전자검사는 허용될 수 있다.
- 또한, 난임부부를 대상으로는 체외인공수정을 허용한다.
생명과학기술 적용과 관련하여 충돌하는 의견들
존엄주의 vs 공리주의
- 존엄주의 : 인간의 존엄을 가장 중요시, 인간 존엄을 해치는 모든 연구와 생산품을 반대
- 공리주의 : 유용성을 중시, 이익과 손해를 계산을 한다.
-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해. 존엄주의는 인간의 존엄을 해한다 생각하여 반대, 공리주의는 이득이 되므로 찬성
동물복제의 윤리적 문제
- 유해 돌연변이 문제
- 동물권의 문제
- 복제된 동물의 자연 수명의 문제
환경문제의 특징
- 환경문제의 부정적인 영향은 초기에 찾기가 쉽지 않다.
- 환경문제의 위험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야기된다.
지속가능한 발전의 원칙과 공학자의 역할
-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은 환경문제의 핵심 개념이자 국제사회의 핵심규범
- 지속가능한 발전 : 미래 세대의 필요충족 능력을 해치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필요성을 충족시킬수 있는 발전
- 오늘날의 환경문제와 공학과의 관계는 이전보다 훨씬 복잡하다.
환경문제에 대한 공학자의 의무
- 공학자들은 환경문제에 있어서 그것의 개선뿐만 아니라 원인제공자가 되기도 한다.
- 인공물질(석유화학 제품, 방사능 등)이 생태계 속에 들어오게 된 것과 관련
- 인공물질들의 대부분이 환경을 파괴하는 오염물질이며, 대량 배출이 이루어진다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