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Security_/etc

[운영체제] RAID 총 정리?!

by 낭람_ 2021. 9. 29.
반응형

RAID(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)

- 여러개의 하드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

- 레벨이 높아질 수록 신뢰성과 성능 향상이 보여진다.

- 데이터를 분할해서 복수의 장치에 대해 병렬로  데이터를 읽는 장치 또는 읽는 방식

 

JBOD(Just Bunch of Disks) :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보이도록 이어붙이는 기술

  * 디스크 각각의 성능이 서로 달라도 전체 볼륨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

  * 디스크 중 하나가 깨져도 그 디스크에 해당하는 부분만 손실

RAID 0 : 여러개의 디스크에 조각을 분배하여 저장하는 기술

  * 스트라이핑(Striping)이라고도 한다.

  * 디스크 중 하나만 깨져도 전체 볼륨을 사용하지 못한다.

  * 스트라이핑 개수를 많이 사용할 수록 성능이 높아지며, 데이터 손실 위험도 커진다.

  *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2 / 용량 : 디스크의 수 x 디스크의 용량

RAID 1 : 같은 데이터를 중복 기록하는 기술

  * 미러링(Mirroring)이라고도 한다.

  * 디스크의 개수를 늘리더라도 RAID 볼륨의 크기는 늘어나지 않는다.

  *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하나의 디스크가 사용가능하다면 계속 동작한다.

  *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2 / 용량 : 단일 디스크의 용량

 RAID 2 : 비트 단위의 패티리 저장

  * 하나의 멤버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패리티로 복구

  * 패리티 계산을 위해 입출력 병목 현상이 발생하여 디스크 I/O 속도가 떨어진다.

  * 이러한 이유로 RAID 2, 3, 4 (별도의 전용 디스크에 패리티저장)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 

  *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3 / 용량 : (디스크의 수 - 1) x 디스크의 용량

RAID 3 : 바이트 단위의 패리티 저장

  * 임의 쓰기(random write) 성능이 나쁘고, 임의 읽기(random read)의 성능은 좋다.

  *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3 / 용량 : (디스크의 수 - 1) x 디스크의 용량  

RAID 4 : 블록 단위의 패리티 저장

  * 쓰기 성능은 나쁘지만 블럭 읽기(block read)의 성능은 괜찮다.

  *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3 / 용량 : (디스크의 수 - 1) x 디스크의 용량

RAID 5 : 블록 단위의 패리티를 각 디스크에 배분하여 저장

  * 패리티가 배분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교체시 RAID 구성이 깨지는 사고에 주의가 필요하다.

  * 지나치게 많은 양의 디스크를 RAID5 로 사용하면 패리티 연산오류 발생 (RAID6, RAID10 권장)

  *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3 / 용량 : (디스크의 수 - 1) x 디스크의 용량

RAID 6 : 서로 다른 방식의 패리티 2개를 이용

  * RAID 5 보다 내장애성이 높아서 두 개의 드라이브까지 고장나는 것을 허용

  *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4 / 용량 : (디스크의 수 - 2) x 디스크의 용량

RAID 10 (0+1) : 디스크를 먼저 미러링 하고 스트라이핑하여 저장

RAID 0+1 (0+1) : 디스크를먼저 스트라이핑 하고 미러링하여 저장

RAID 50 (5+0) : RAID 5 세트를 다시 스트라이핑 저장

RAID 60 (6+0) : RAID 6 세트를 다시 스트라이핑 저장

RAID Z3 : 서로 다른 방식의 패리티 3개를 동시에 사용

 

 

RAID 볼륨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조사할 때의 유의사항

- RAID볼륨의 이미지를 만들기 전에 각 디스크의 이미지를 먼저 만드는 것이 유용

- 개별적인 디스크 이미지에는 최종 RAID 볼륨에는 없는 숨겨진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.

- RAID볼륨 디스크를 수집할 때, 원본 디스크를 수정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, 수정 방지를 위해 쓰기 방지 장치등을 사용해야 한다.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