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[Token Passing]
_ 이전글 [Ethernet에 대하여]
토큰패싱
- 토큰이라는 제어비트를 송신하고 해당 토큰을 확보해서 통신을 하는 방식
- 통신 회선에 대한 제어 신호가 논리적으로 형성된 링에서 각 노드 간을 옮겨가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
- 링(Ring) 형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사용한다.
-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.
토큰패싱의 특징
- 가변 길이의 데이터 프레임 전송이 가능
- 하드웨어 장비가 복잡하고 평균 대기 시간이 높다
- 부하가 높을 때에는 안정감이 있고, 접근 시간이 대략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
- 링형 토폴로지 통신망에서 제어 신호가 각 노드 간을 순차적으로 옮겨가면서 데이터를 전송
- 특정한 비트 패턴으로 구성된 짧은 프레임 형태
- 통신 회선의 길이가 무제한
- 확장성이 어렵다
- 고속 버스트 전송에 유리
토큰패싱의 장점
-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
- 성능 저하가 적다
토큰패싱의 단점
- 설치 비용이 고가이고 복잡함
- 노드가 많으면 성능이 떨어진다
- 토큰에 대한 분실이 발생할 수 있다.
반응형
'Certificate_ > 네트워크관리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OSI 7계층 정리 (0) | 2019.07.30 |
---|---|
[네트워크] 정보신호? _ Information Signal에 대하여 (0) | 2019.03.03 |
[네트워크] CSMA/CD 프로토콜이란? _Carrier Sense Multiple Access/Collision Detection에 대하여 (2) | 2019.01.21 |
[네트워크] 이더넷? _ Ethernet에 대하여 (0) | 2019.01.21 |
[네트워크] IEEE 802 위원회 LAN 표준 (0) | 2019.01.14 |
댓글